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정부·보수신문 ‘아고라 죽이기’ 본문

.....Live(삶터)

정부·보수신문 ‘아고라 죽이기’

AziMong 2008. 7. 4. 06:43
정부·보수신문 ‘아고라 죽이기’
입력: 2008년 07월 03일 18:16:47
 
ㆍ‘촛불’ 끄려 뉴스제공 중단 등 전방위 압박
ㆍ네티즌 해외사이트로 이동 토론방 ‘위축’

광장(아고라)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와 보수세력의 집중포화로 촛불의 근원지인 다음의 아고라 토론방에서 자유로운 토론이 위축되고 있다. 아고라 죽이기가 본격화하면서 표현의 자유가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네티즌들은 자신의 뜻을 자유로이 펼칠 수 있는 새로운 터전을 찾아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의 기본정신은 표현의 자유인데 이를 사회 무질서로 보고 통제하려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촛불정국과 맞물려 아고라에 대해 전방위적인 압박과 견제가 나타나고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지난 1일 아고라에 게시된 조선·중앙·동아일보 광고주들에 대한 불매운동 관련 글에 대해 위법판정과 게시물 80건 중 58건을 삭제했다. 정보통신위원회 심의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기타 정당한 권한 없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에 해당된다는 것이었다.

검찰은 이들 신문사를 상대로 불매운동 관련 글을 올린 게시자들의 신원을 확인하고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언론단체 등은 심의위 결정에 대해 “방통심의위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앞장서는 검열기관으로 전락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보수신문 3사는 아고라를 운영하고 있는 다음에 대해 오는 7일부터 다음에 대한 뉴스 제공을 중단하겠다고 지난 주 통보했다. 확산되고 있는 광고불매운동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해석된다. 보수신문들은 아고라에 게시된 불매운동 등 게시문에 대한 삭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뉴스공급 중단이라는 초강경 카드를 들고 나온 것이다. 포털업계에서는 “포털시장에서 다음을 고립시키기 위한 술책”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방통심의위 결정 이후 일부 네티즌들이 우리 정부의 제재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구글, 야후 등 해외 사이트로 이동하면서 아고라 토론방의 위축도 불가피하게 됐다.

전북대 신방과 김승수 교수는 “거대 언론사의 허위사실 보도나 명예훼손에 대해선 솜방망이 대응을 하면서 인터넷 댓글들의 내용을 통제하려는 것은 억압적인 발상”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조·중·동의 대응에 대해서도 “미디어로서의 신념보다는 자신들의 권력과 정치적 득실관계에 따른 속좁은 행동”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