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왜 ‘민속의 날’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는가? 본문
[Why뉴스] 왜 ‘민속의 날’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는가?
노컷뉴스 | 입력 2010.02.14 07:03 | 누가 봤을까? 40대 남성, 제주
[CBS사회부 구용회 기자]
뉴스의 속사정이 궁금하다. 뉴스의 행간을 속시원히 짚어 준다. [편집자주] 오늘이 설날 연휴 마지막날이다. 개미허리 만큼이나 짧은 연휴를 마치고 돌아오는 귀성행렬이 오늘 절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설 명절을 계기로 '설 변천사'를 살펴볼까 한다. 설은 문헌에 보면 신라때부터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근대와 현대사에서도 '설'은 정권에 의해 '사라졌다,되살아났다'를 반복하는 긴 생명력을 자랑하고 있다. 전두환 정부는 '설'을 부활시키면서 '민속의 날'이라 명칭했는데 불과 4년만에 '설'이라는 이름으로 환원됐다. 민속의 날이 왜 역사속으로 사라졌는지 속사정을 알아보겠다.
▶설의 변천사를 우선 살펴보자?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음력 정월 초하룻날을 설로 쇠었다. 그런데 1894년 갑오개혁을 계기로 친일정부를 세운 김홍집 내각이 서양 역법(曆法)을 적용하면서 설을 양력 1월 1일로 바꿨다.일제 강점기에 일제는 음력성을 '구식설날'이라는 뜻의 '구정'이라 이름을 붙여 탄압을 했다.심지어는 음력설을 쇠지 못하도록 섣달 그믐 전 1주일 동안 떡방앗간을 돌리지 못하게 했다. 이승만 정부 또한 당시 미국문화에 경도됐기 때문에 양력 신봉자였다. 신정을 사흘 연휴로 법제화했다.그런데 박정희 정권은 음력설을 아예 뿌리뽑을 생각으로 '이중과세'라며 음력설에도 학교수업을 강행하고 공장문을 열도록 했다.그러다가 전두환 정권은 1985년 설을 '민속의 날'이라는 어정쩡한 이름으로 복귀시켰고 노태우 정부가 들어서서야 설 명칭은 복권되고 설연휴가 사흘로 늘게 됐다.
▶일제가 설을 없애려고 했지만 '설'이 유지돼 온 이유는 뭔가?
-갑오개혁때 김홍집 내각이 양력설을 도입했지만, 일본의 지지를 받아 탄생했기 때문에 당시 백성들 사이에서는 ''일본역법이다', '왜설'이다'라는 인식이 컸다.또 일제강점기에도 일제가 양력설을 강하게 추진함에 따라 계속 거부감이 생기고 저항력이 커졌다. 그래서 음력설의 전통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았다.
▶박정희 정권 들어서도 음력설이 부활하지 않고 오히려 공휴일을 아예 제외했는데 왜 그랬나?
-박정희 정부는 경제개발이 목표였지 않나? 그래서 경제논리를 들어 공휴일을 가급적이면 만들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산업화 시대의 독재적 발상인데,, 노동자들이 공휴일이 많아져 자꾸 놀면 수출에 타격을 받는다고 생각을 했다. 산업화를 위해 '수출드라이브 정책'을 내건 박정희 정권으로써는 국민들이 잠시나마 일손을 멈추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새벽종이 울리면 자나깨나 너도나도 일어나 일을 해야 했고, 우리 음력설에 맞춰 다른 나라는 쉬지 않았기 때문에 바이어의 주문을 맞출 수 없다고 생각을 했다.
▶전두환 정부때 '민속의 날'이 '설'로 부활했다가 불과 4년후에 사라졌는데 그 이유는 뭔가?
-1984년 12월 23일자 일부 신문을 보면, '구정, 조상의 날로 당정 공휴일 합의'라는 기사가 있다. 정부와 당시 민정당이 구정을 '조상의 날'로 지정해 공휴일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는 내용이다.그런데 '조상의 날'이라는 명칭에 대해 반대 여론이 들끓으면서 그 이듬해 '민속의 날'로 지정을 했다. 어쨌든 이때부터 추석과 같은 설 귀성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그렇다면 왜 하필 '민속의 날'이었을까? 국립민속박물관 장장식 연구관은 "당시에도 외국과 다른 역법을 쓰면 산업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아까 '이중과세'라는 말을 했다. 설을 신정과 구정 두 번 쇠면 공휴일이 이중으로 늘어난다는 논리다. 특히 경제계가 이중과세를 반대했기 때문에 '민속의 날' 명칭은 반은 당시 민주화에 목말라 있는 국민의 요구를 들어주는 형식을 취한 것이고, 반은 이중과세라는 경제계의 반대를 적절하게 '마사지'하기 위한 타협의 산물이 아니었나 싶다.
▶그렇다면 '민속의 날' 명명도 당시 민주화를 요구하는 사회상황과도 맞닿아 있다는 것인가?
-국민의 지지가 취약한 전두환 정권운 민주화 시위가 점점 격화되자 사회적 불만을 무마하고자 당근책의 일환으로 '설'을 '민속의 날'로 명명했다. 그러나,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은 불과 4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노태우 정부는 1989년 설날과 추석연휴를 이틀에서 각각 사흘로 늘리고 대신 신정연휴는 사흘에서 이틀로 줄였다. 당시 20-30년을 달려 온 '수출역군'에 대한 피로감도 생기면서 반대측에서도 더 이상 '이중과세'라고 공격을 할 수 없는 사회상황이 형성됐다고 봐야 될 것 같다.
▶이번 설연휴는 일요일이어서 실제 공휴일은 오늘 하루뿐이어서 너무 짧다는 불만이 많은데이런 경우 공휴일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는데?
-설과 추석 연휴는 '설'과 '추석'날의 하루 앞과 뒷날을 합쳐 사흘 쉰다. 그런데 이번처럼설이 일요일이면 월요일 하루만 쉬게 된다.따라서 공휴일을 지정해 연휴가 휴일과 겹치면 평일로 연장해 쉬게 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시간이 너무 빨라 만나자마자 이별이니,, 설,추석 연휴는 땅이 넓은 중국처럼 보름,한달까지는 쉴 수 없지만 며칠 더 여유있게 쉴 수 있으면 좋겠다는게 많은 사람들의 뜻이 아닐까 한다.
▶설의 변천사를 우선 살펴보자?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음력 정월 초하룻날을 설로 쇠었다. 그런데 1894년 갑오개혁을 계기로 친일정부를 세운 김홍집 내각이 서양 역법(曆法)을 적용하면서 설을 양력 1월 1일로 바꿨다.일제 강점기에 일제는 음력성을 '구식설날'이라는 뜻의 '구정'이라 이름을 붙여 탄압을 했다.심지어는 음력설을 쇠지 못하도록 섣달 그믐 전 1주일 동안 떡방앗간을 돌리지 못하게 했다. 이승만 정부 또한 당시 미국문화에 경도됐기 때문에 양력 신봉자였다. 신정을 사흘 연휴로 법제화했다.그런데 박정희 정권은 음력설을 아예 뿌리뽑을 생각으로 '이중과세'라며 음력설에도 학교수업을 강행하고 공장문을 열도록 했다.그러다가 전두환 정권은 1985년 설을 '민속의 날'이라는 어정쩡한 이름으로 복귀시켰고 노태우 정부가 들어서서야 설 명칭은 복권되고 설연휴가 사흘로 늘게 됐다.
▶일제가 설을 없애려고 했지만 '설'이 유지돼 온 이유는 뭔가?
-갑오개혁때 김홍집 내각이 양력설을 도입했지만, 일본의 지지를 받아 탄생했기 때문에 당시 백성들 사이에서는 ''일본역법이다', '왜설'이다'라는 인식이 컸다.또 일제강점기에도 일제가 양력설을 강하게 추진함에 따라 계속 거부감이 생기고 저항력이 커졌다. 그래서 음력설의 전통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았다.
▶박정희 정권 들어서도 음력설이 부활하지 않고 오히려 공휴일을 아예 제외했는데 왜 그랬나?
-박정희 정부는 경제개발이 목표였지 않나? 그래서 경제논리를 들어 공휴일을 가급적이면 만들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산업화 시대의 독재적 발상인데,, 노동자들이 공휴일이 많아져 자꾸 놀면 수출에 타격을 받는다고 생각을 했다. 산업화를 위해 '수출드라이브 정책'을 내건 박정희 정권으로써는 국민들이 잠시나마 일손을 멈추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새벽종이 울리면 자나깨나 너도나도 일어나 일을 해야 했고, 우리 음력설에 맞춰 다른 나라는 쉬지 않았기 때문에 바이어의 주문을 맞출 수 없다고 생각을 했다.
▶전두환 정부때 '민속의 날'이 '설'로 부활했다가 불과 4년후에 사라졌는데 그 이유는 뭔가?
-1984년 12월 23일자 일부 신문을 보면, '구정, 조상의 날로 당정 공휴일 합의'라는 기사가 있다. 정부와 당시 민정당이 구정을 '조상의 날'로 지정해 공휴일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는 내용이다.그런데 '조상의 날'이라는 명칭에 대해 반대 여론이 들끓으면서 그 이듬해 '민속의 날'로 지정을 했다. 어쨌든 이때부터 추석과 같은 설 귀성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그렇다면 왜 하필 '민속의 날'이었을까? 국립민속박물관 장장식 연구관은 "당시에도 외국과 다른 역법을 쓰면 산업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아까 '이중과세'라는 말을 했다. 설을 신정과 구정 두 번 쇠면 공휴일이 이중으로 늘어난다는 논리다. 특히 경제계가 이중과세를 반대했기 때문에 '민속의 날' 명칭은 반은 당시 민주화에 목말라 있는 국민의 요구를 들어주는 형식을 취한 것이고, 반은 이중과세라는 경제계의 반대를 적절하게 '마사지'하기 위한 타협의 산물이 아니었나 싶다.
▶그렇다면 '민속의 날' 명명도 당시 민주화를 요구하는 사회상황과도 맞닿아 있다는 것인가?
-국민의 지지가 취약한 전두환 정권운 민주화 시위가 점점 격화되자 사회적 불만을 무마하고자 당근책의 일환으로 '설'을 '민속의 날'로 명명했다. 그러나,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은 불과 4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노태우 정부는 1989년 설날과 추석연휴를 이틀에서 각각 사흘로 늘리고 대신 신정연휴는 사흘에서 이틀로 줄였다. 당시 20-30년을 달려 온 '수출역군'에 대한 피로감도 생기면서 반대측에서도 더 이상 '이중과세'라고 공격을 할 수 없는 사회상황이 형성됐다고 봐야 될 것 같다.
▶이번 설연휴는 일요일이어서 실제 공휴일은 오늘 하루뿐이어서 너무 짧다는 불만이 많은데이런 경우 공휴일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는데?
-설과 추석 연휴는 '설'과 '추석'날의 하루 앞과 뒷날을 합쳐 사흘 쉰다. 그런데 이번처럼설이 일요일이면 월요일 하루만 쉬게 된다.따라서 공휴일을 지정해 연휴가 휴일과 겹치면 평일로 연장해 쉬게 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시간이 너무 빨라 만나자마자 이별이니,, 설,추석 연휴는 땅이 넓은 중국처럼 보름,한달까지는 쉴 수 없지만 며칠 더 여유있게 쉴 수 있으면 좋겠다는게 많은 사람들의 뜻이 아닐까 한다.
'.....Live(삶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의 7대격언 (0) | 2010.03.09 |
---|---|
나는야 땅 천오백 평 구입한 신용등급 '제로' - (0) | 2010.03.07 |
왜 우리나라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 아닌가? (0) | 2010.02.10 |
한국이 외설 산업 세계 1위 국가? 영국 잡지 보도 (0) | 2010.02.02 |
아파트값은 내리막... 정부 통계는 고공행진 (0) | 201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