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고려인 강제이주 70년> (1)수난의 역사 본문
<고려인 강제이주 70년> (1)수난의 역사
스탈린의 지시로 하루아침에 집과 고향을 버리고 화물열차에 강제로 실렸다. 기차를 타기 전 독립운동가나 지식인 등 수천의 고려인은 '일본의 앞잡이'라는 핑계로 총살되거나 사라졌다.고려인들은 사전에 어디로 간다는 통보조차 없이 화장실은 물론 마실 물 한 모금 없는 열차에 빼곡히 실려 길게는 50여 일 동안 6천km를 이주했다.
이들이 생사를 넘나들며 도착한 땅은 중앙아시아의 허허벌판. 지금은 독립이 된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지역이다. 풀 한 포기 나지 않는 사막지대나 먹을 것 한 톨 없는 동토에 내버려진 고려인들은 땅굴을 파 거센 눈보라와 추위를 피하고 집을 떠나기 전 조금씩 챙겨온 식량을 나눠 먹으며 생명을 부지했다.
고려인들은 이런 열악한 환경을 한민족 특유의 인내로 이겨내고 황무지를 옥토로 개간해내 오늘날 120개 소수민족 가운데 가장 뛰어난 민족으로 성장했다. 이들은 소련시절 전체 노력영웅 1천200여명 중 750여명을 배출했다.
연합뉴스는 한민족센터 설립 기념 특집기획으로, 9월12-24일 취재.사진.영상기자 4명의 특별팀을 구성해 러시아 하바로프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강제이주 역사의 현장을 추적했다.
30일부터 10월6일까지 강제이주 수난의 역사, 고려인 재정착과 국적회복, 좌절딛고 성공한 고려인, 고려인 후손의 정체성 확립, 현지진출 한국기업과 시민단체 등으로 구분해 고려인 강제이주 70년을 다룬다.>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왕길환 김병규 기자 = "잠을 자고 있는데 갑자기 경찰이 들이닥쳐 가족을 협박했고, 그 길로 기차역까지 끌려가 화물열차에 짐승처럼 실려 어디론가로 출발했다"
1937년 9월. 당시 12세의 소년이었던 블라디미르 박씨는 70년이 지난 지금 백발의 할아버지가 됐다. 하지만 강제 이주 당시의 기억은 아직도 생생히 남아있다.
"말과 소를 운반하는 화물열차 1칸에 80명 정도가 탔는데 물도 없고, 화장실도 없었다. 기차가 서면 기차 밑에다 대소변을 보고, 급하면 한쪽에 뚫어놓은 구멍에 대고 볼일을 봤다. 냄새가 지독했다" 박 할아버지의 증언이다.
그는 "배가 고파서 견딜 수가 없자 사람들은 기차가 서면 인가에 뛰어들어가 먹을 것을 구해 먹기도 했고, 결국 먹지 못해 굶어 죽는 사람도 있었으며 임산부는 열차안에서 아이를 낳기도 했다"고 밝혔다.
17만여 명의 연해주 고려인은 박 할아버지처럼 스탈린의 강제이주 정책에 따라 짧게는 30일, 길게는 50일 가까이 화물열차에 실려 6천km에 달하는 중앙아시아 허허벌판에 내버려졌다. 스탈린은 1937년 8월21일 러시아 원동(遠東) 연해주 일대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을 강제로 중앙아시아로 이주시킬 것을 명령했다.
당시 소련군은 강제이주를 반대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지식인 2천800여 명을 체포해 재판 절차도 없이 총살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제이주를 직접 겪은 카자흐스탄 거주 정상진(90) 전 북한문화부 제1선전성 문화부상은 강제이주를 당한 고려인들의 삶은 "비참했다"라고 요약한다. 정 할아버지는 "중앙아시아 허허벌판에 내버려진 고려인들은 집도, 가구도, 농기구도, 돈도 없이 땅굴을 파고 추운 겨울을 났다"며 "이주 초기 어린이와 노인 1만여 명이 토질병과 추위에 죽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1937년 11월 초 카자흐스탄 크졸오르다 눈밭에 도착한 어린이와 여인들은 울기 시작했다. '죽으라고 이런 곳에 실어온 것이야' 하는 통곡이 살을 에는 듯한 칼바람을 갈랐다"며 "이런 광경을 본 카자흐스탄 여인들이 어린이와 여인들에게 빵을 가져다 주며 함께 붙들고 우는 장면을 직접 목격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영국 BBC방송으로부터 '아시아의 피카소'라고 불린 신순남(1928-2006년) 화백은 직접 겪은 강제이주를 '레퀴엠'에 형상화하면서 얼굴을 그려넣지 않았다. 신 화백은 살아있을 때 "중앙아시아의 황무지를 일군 고려인들은 노예였다. 노예에겐 이름도, 민족도 없다. 그래서 얼굴을 그려넣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동토에서 생명을 부지하며 살아가는 고려인들을 옆에서 지켜봤거나 도움을 줬던 우즈베키스탄인이나 카자흐스탄인들의 증언에서도 그들의 삶은 척박하기 그지없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에서 자동차로 2시간 거리에 있는 굴리탄시의 후데이 데이디에프 자몬(73)씨는 "너무 어려서 기억이 나지 않지만 나중에 어른들로부터 들었다"며 "우즈벡인들이 추위에 떠는 고려인들에게 이불도 가져다 주고, 돈도 주고, 먹을 것도 가져다 줬다"고 말했다.
자몬씨는 "그렇지만 고려인들은 열심히 일을 하고, 농사를 잘 지어 정착을 빨리했다"고 전했다.
자몬씨의 증언처럼 고려인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한민족 특유의 인내로 황무지를 옥토로 개간하는 저력을 보였다. 우즈베키스탄의 김병화씨를 비롯해 황만금씨, 김만삼씨 등 750명이 소련시대 최고 훈장인 '노력영웅' 칭호를 받았다. 전체 1천200명의 노력영웅 중 60%가 넘는다.
고려인 여성들의 활약은 오늘날 2,3,4세 후손들이 정착하는데 기틀을 마련했다. '모성영예', '노력영웅' 표창을 받은 수많은 고려인 어머니들은 비참한 역사를 대물림하지 않기 위해 자녀 교육에 몸을 불살랐다.
카자흐스탄에서 발행되는 한글신문인 고려일보에 소개된 사연(8.24일자)에 따르면 어머니들은 콜호스(집단농장)에서 하루 종일 일하고, 저녁에는 청소부로 일하는 등 쉴 틈이 없었으며, 자녀는 그런 어머니를 보면서 열심히 공부했다.
정상진 할아버지는 "세계사에 유례가 없는 가장 잔혹하고도 비참하며 야만적인 강제이주의 역사를 간직한 고려인들은 범죄적 행위를 절대 잊지 말고 살아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현재 고려인 2,3,4세 후손들은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지역(CIS)에서 120개 소수민족 가운데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해 살고 있다.
'.....時事(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1돌 한글날, 영어에 숨 막혀 (0) | 2007.10.09 |
---|---|
60대 꽃뱀 낀 사기단, 80대 노인 땅판 돈 11억원 꿀꺽 (0) | 2007.10.05 |
대기업 '해외 유학파' 모셔가기는 이제 옛말 (0) | 2007.09.29 |
창조론을 교실서 가르치는 건 인권침해? (0) | 2007.09.27 |
일본이 한반도에서 건너갔다? (0) | 2007.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