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美 '인간광우병' 비상…22세女 생명 위독 본문

.....Live(삶터)

美 '인간광우병' 비상…22세女 생명 위독

AziMong 2008. 4. 11. 06:00

美 '인간광우병' 비상…22세女 생명 위독

프레시안 | 기사입력 2008.04.10 11:36 | 최종수정 2008.04.10 16:16


외국 나간 적 없어…美 쇠고기 안전성 결정타

[프레시안 강양구/기자]
미국, 스페인에서 '인간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1%A4%BF%EC%BA%B4&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410113613713" target=new>광우병'으로 추정되는 환자가 잇따라 발생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한 번도 외국을 나간 적이 없는 20대 여성이 인간광우병 증상으로 죽음을 앞둔 상황이어서 큰 파장이 예상된다. 그간 미국에서는 3명이 인간광우병 판정을 받고 사망했으나, 모두 외국 체류 경험이 있었다.

만약 이 20대 여성이 인간광우병으로 최종 확진된다면 미국 본토에서 광우병(BSE) 쇠고기를 섭취한 탓에 인간광우병에 걸린 최초의 사례가 된다. 그간 미국 정부는 "미국 본토에서 쇠고기를 먹고 인간광우병에 걸린 이들이 없다"며 "미국산 쇠고기는 안전하다"고 주장해 왔다.

최초의 미국산 인간광우병 환자 발생?

NBC, 폭스TV 등 미국 언론은 8일(현지 시각) 일제히 "미국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9%F6%C1%F6%B4%CF%BE%C6+%C1%D6&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410113613713" target=new>버지니아 주에서 외국 체류 경험이 전혀 없는 22세의 여성이 인간광우병(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코브병, vCJD)으로 사경을 헤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언론은 "이 여성이 인간광우병으로 확진된다면 미국 본토에서 감염된 첫 번째 인간광우병 환자"라고 설명했다.

이 여성의 어머니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내 딸은 줄곧 버지니아 주에서 살았으며, 외국 여행을 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 "내 딸은 심지어 미국 중서부 지역을 다녀온 적도 없다"고 덧붙였다. 그의 말이 사실이라면 이 여성은 광우병 쇠고기 섭취 등으로 인간광우병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에서는 그 동안 인간광우병으로 3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2명은 인간광우병 환자가 다수 발생한 영국 체류 경험이 있었고, 1명은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의 이민자였다. 이런 사정 탓에 미국 정부는 줄곧 "미국 본토에서 인간광우병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는 증거"라고 주장했었다.

한국 정부도 "미국산 쇠고기가 위험하다면 미국에서 인간광우병이 발생해야 하는데, 미국에서는 인간광우병이 발생한 적이 없다"고 미국 정부의 주장을 되뇌었다. 그러나 상당수 전문가는 "짧게는 10년에서 길게는 수십 년 가까이 되는 인간광우병의 잠복기를 염두에 둔다면 미국에서 인간광우병이 확산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경고했었다.

스페인에서도 3개월동안 인간광우병으로 2명 사망

한편, 스페인에서도 지난 3개월 동안 인간광우병으로 2명이 숨졌다. 스페인에서 인간광우병으로 사망자가 발생한 것은 3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 AFP > 에 따르면, 스페인 보건 당국은 최근 "2명의 스페인 인이 각각 지난 12월 28일, 2월 7일 숨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들 사망자는 모두 10~12년 전에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먹고 인간광우병 증세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간광우병 환자가 잇따라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자, 스페인 정부는 "몇 년 전과는 다르다"며 파장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자 부심하는 모습이다. 스페인에서는 지난 2005년 처음으로 인간광우병으로 26세 남성이 숨진 일이 있었다.

 

 

‘뼈있는’ 미국 쇠고기 수입하나

한겨레 | 기사입력 2008.04.10 22:06


[한겨레] 총선 때의 농민 표 이탈을 우려해 6개월 동안 미뤄져왔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를 위한 협상이 시작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0일 "미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미국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 개정을 위한 한-미 고위급 전문가 협의를 11일부터 과천 농식품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번 협의에 우리 쪽은 민동석 농식품부 농업통상정책관 등 7명이, 미국 쪽은 엘렌 텁스트라 농업부 차관보 등 9명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한-미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C0%DA%C0%AF%B9%AB%BF%AA%C7%F9%C1%A4&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410220605291" target=new>자유무역협정(FTA)의 의회 비준동의를 위해서 한국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 시장을 완전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특히 미국은 지난해 5월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1%B9%C1%A6%BC%F6%BF%AA%BB%E7%B9%AB%B1%B9&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410220605291" target=new>국제수역사무국(OIE)으로부터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1%A4%BF%EC%BA%B4&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410220605291" target=new>광우병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C0%A7%C7%E8%C5%EB%C1%A6%B1%B9&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410220605291" target=new>위험통제국 지위를 인정받은 뒤, 수역사무국 지침에 맞춰 당장 연령과 부위의 제한 없이 모든 쇠고기를 수입하라고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정부 안에서는 오는 15일 이명박 대통령의 방미 이전에 쇠고기 문제의 매듭을 풀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해, 이번 전문가 협의에서 수입위생조건 개정에 대한 합의가 전격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농식품부는 광우병 위험성 때문에 미국 쪽 요구대로 당장 조건 없는 완전 개방을 받아들일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대신 '2단계 개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30개월 미만이라는 연령 제한은 유지한 채 뼈를 포함한 쇠고기까지 개방하고, 이어서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연령 제한마저 풀어주는 안이다.

실제 농식품부는 올해 초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4%EB%C5%EB%B7%C9%C1%F7+%C0%CE%BC%F6%C0%A7%BF%F8%C8%B8&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410220605291" target=new>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미국산 쇠고기 '2단계 개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산 수입 쇠고기에서 광우병 특정위험물질(SRM)인 등골뼈가 발견된 직후, 한국과 미국은 수입위생조건 개정을 위한 1차 협의를 벌였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으며, 이후 6개월간 총선 등 정치 일정 때문에 공식적인 협의는 열리지 않았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뢰도 1위' 믿을 수 있는 언론 < 한겨레 >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