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CNN 방송내용 본문
![](http://i.l.cnn.net/cnn/.element/img/2.0/global/story_tools/text_size.gif)
![Decrease font Decrease font](http://i.l.cnn.net/cnn/.element/img/2.0/global/story_tools/txt_minus.gif)
![Decrease font Decrease font](http://i.l.cnn.net/cnn/.element/img/2.0/global/story_tools/txt_minus_dn_.gif)
![Enlarge font Enlarge font](http://i.l.cnn.net/cnn/.element/img/2.0/global/story_tools/txt_plus.gif)
![Enlarge font Enlarge font](http://i.l.cnn.net/cnn/.element/img/2.0/global/story_tools/txt_plus_dn.gif)
SEOUL, South Korea (AP) -- South Korea lifted an import ban on American beef Thursday, officials said, hoping to move on from a crisis that battered the pro-U.S. government with protests over mad cow disease concerns.
![A pedestrian walks past a banner opposed to importing U.S. beef in Seoul on Wednesday.](http://i2.cdn.turner.com/cnn/2008/WORLD/asiapcf/06/25/skorea.beef.ap/art.woman.poster.ap.jpg)
A pedestrian walks past a banner opposed to importing U.S. beef in Seoul on Wednesday.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greed last week to restrict U.S. beef exports to younger cattle, modifying an earlier deal that placed few restrictions on meat shipments and sparked widespread outrage against the government.
The Public Administration Ministry issued a legal notice Thursday morning on the U.S. agreement -- the final administrative step required before imports resume, said ministry official Chang Su-wan.
Meat from cattle younger than 30 months are considered at less risk of mad cow disease.
U.S. beef was banned from South Korea in 2003 after the first case of mad cow disease was discovered in cattle there. South Korea had previously been the third-largest market for American beef. Limited imports were allowed last year before being again suspended.
Eating meat products contaminated with mad cow disease is linked to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a rare and fatal human malady.
U.S. and South Korean officials insist American beef is safe.
Don't Miss
Korean activists, however, have vowed to keep rallying against new President Lee Myung-bak, calling for a complete renegotiation of the original April beef accord. Lee's government has rejected a renegotiation, saying it would erode the country's international credibility.
"The observation of an agreement is very important for state-to-state relations and it is very essential to maintain national credibility on the international stage," Prime Minister Han Seung-soo said at a meeting with top ruling party leaders Wednesday, according to his office.
Some 5,300 tons of U.S. beef, shipped earlier to South Korea but held in customs and quarantine storage facilities, will first undergo inspections before being put on the market, according to the Agriculture Ministry.
Ministry spokesman Yoon Young-koo said quarantine and inspection of the meat in the storage facilities could restart as early Thursday afternoon, if importers ask for it.
Faced with daily candlelight vigils against imports of U.S. beef, President Lee replaced his top advisers and apologized to the public for the second time last week. His entire Cabinet has also offered to resign.
Lee said Tuesday that he would not tolerate any illegal, violent demonstrations against the planned resumption of beef imports.
Demonstrations have dwindled in size since some 80,000 people gathered in central Seoul two weeks ago in the largest recent protest.
![advertisement](http://i.l.cnn.net/cnn/.element/img/2.0/content/ads/advertisement.gif)
On Wednesday night, about 2,500 people rallied in central Seoul to condemn the pending resumption of imports. Police sprayed fire extinguishers at activists as they used ropes to try to pull away a police bus and scuffles broke out. Police said more than 100 people were detained.
Opposition parties had also demanded the Lee government cancel the resumption, citing recent public surveys showing South Koreans still oppose the new rules on beef imports.
Copyright 2008 The Associated Press. All rights reserved.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All About South Korea • Lee Myung-bak
http://edition.cnn.com/2008/WORLD/asiapcf/06/25/skorea.beef.ap/index.html?iref=newssearch#cnnSTCVideo
지난 목요일 한국의 많은 시위대들이 미국소 수입에 관한 관보 철회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지난주에 지난 4월 광우병 수입에 대해 합의한 합의문의 일부를 유동적으로 재조정했습니다.
장수원 대변인은 목요일 오전에 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앞서 최종적으로 관보 게재를 결정했습니다.
30개월 미만의 소고기는 광우병 위험이 적습니다.
미국산 수입 소고기는 지난 2003년에 광우병 의심 소가 발견된 이후 수입이 금지된 바 있으며 한국은 미국산 소고기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세번째국가입니다. 그러나 지난해에 뼛조각이 발견됨으로써 수입 제한 조치가 취해진 바 있습니다.
광우병이 있는 소로 만들어진 제품을 인간이 섭취하였을 경우 인간에게 치명적인 크루쯔휄트 제이캅Creutzfeldt-Jakob 질환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한국과 미국 정부는 미국산 소고기가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많은 사회운동가들은(액티비스트)들은 이명박 대통령에게 재협상에 임하여줄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재협상 요구는 한국의 대외 신인도를 좀먹는 일이라며 거부하고 있습니다.
한승수 국무총리는 여당인 한나라당 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서 이와같이 이명박 대통령의 뜻을 전했습니다. (한승수 국무 총리 역시 국가 대 국가간의 신뢰는 중요하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5.300톤에 달하는 미국산 소고기는 이미 출하가되었지만 농림부의 검역을 위해 세관 창고에 대기중에 있는 상황입니다.
윤영구 정부 대변인은 목요일 오후부터 수도권을 시작으로 만약 수입업자들이 원한다면 창고에 대기중인 소고기의 판매를 허락할 것이라고 합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매일 같이 촛불을 밝히며 재협상을 하여줄것을 요구하고 있는 국민들의 요구에 대해 두번째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고 또한 그의 내각 각료들은 사직할것을 천명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화요일 이명박 대통령은 촛불 시위대들의 미국산 수입 소고기 반대 시위에 대해 엄중대처할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촛불 시위 참가자들의 숫자가 2주전에 비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수요일 2.500여명에 달하는 시위대들은 정부의 수입 재개 방침에 항의하며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100여명의 시위자가 연행되었다고 한국 경찰은 밝혔습니다.
야당 역시 이와같은 정부의 방침에 대해 철회하여줄것을 요구하였으며 여론 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다수의 한국 국민들은 여전히 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ive(삶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 女 시위대에 또 '군홧발' 구타 · 곤봉세례 (0) | 2008.06.29 |
---|---|
<조선> 극소수가 아고라 여론 장악?…“1위는 이명박 ‘알바’” (0) | 2008.06.28 |
그래 이놈들아 다 죽여버려라 하는 마음으로~찌지직(방송끊김) (0) | 2008.06.28 |
미국서 광우병위험물질 발견된 쇠고기 전량 리콜 (0) | 2008.06.27 |
美, 광우병 위험 쇠고기 전량 리콜…검역체계 구멍 (0) | 2008.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