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담적 본문
오적산 (五積散)
창출 6g, 마황, 진피 각 3g, 후박,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각 2.4g,
백지, 천궁, 반하, 계피 각 2.1g, 감초 1.9g중에서 육계, 지각만을 따로 가루로 하고,
나머지는 같이 가루로 하여 세지 않은 불에 색이 바뀔 때까지 초하여 식힌다.
여기에 육계, 지각의 가루를 가하여 잘 섞은 후 물을 가하고,
다시 생강을 넣어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뜨겁게 복용한다.
적응증은 익히지 않거나 찬 음식을 먹었을 때, 또는 추운 환경에 있을 때에,
오한, 발열, 관절통, 두통, 콧물 등의 표한증이 나타나고,
여기에 오심, 구토, 하리, 복부팽만, 복통, 팔다리나 배가 냉해지는 등
비위의 허한 습증이 나타날 때, 냉방 등의 한냉한 환경 때문에 몸이 냉하다,
오한이 난다, 열이 난다, 관절이 아프다, 머리가 아프다, 팔다리가 저린다,
근육통이 있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복용한다.
요약
혈적(血積)·기적(氣積)·식적(食積)·담적(痰積) 등을 치유할 때 쓰이는 처방.
동의보감》에 기록되어 있다.
설명
혈적(血積)·기적(氣積)·식적(食積)·담적(痰積) 등을 치유할 때 쓰이는 처방.
《동의보감》에 기록되어 있다.
처방은
창출(蒼朮)-삽주의 줄기뿌리
마황(麻黃)-마황의 자상부
진피(陳皮)-귤껍질
후박-후박나무 껍질
길경(桔梗)-도라지 뿌리
지각(枳角)-탱자나무
당귀-당귀의 뿌리
건강(乾薑)-말린 생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궁궁이의 줄기뿌리
백지(白芷)-구릿대 뿌리
반하(半夏)-반하의 덩이뿌리
계피-계수나무의 껍질
감초-감초의 뿌리
를 달여 복용한다.
이 처방은 풍한이나 찬 음식에 상하여 몸에 열이 나고,
땀은 없으면서 머리와 온몸이 아프며,
목덜미와 등이 당기고 명치 밑이 그득하며, 구토·설사가 나며,
소화불량으로 냉증이 생기는 증상에 쓰인다.
급성 및 만성 위염·십이지장궤양 등에도 쓰인다.
'.....Live(삶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식이요법 ② (0) | 2007.04.14 |
---|---|
고혈압 식이요법 ① (0) | 2007.04.14 |
요상한 기후, 불편한 진실 6가지 (0) | 2007.04.13 |
2080년쯤 한반도 현존 산림생물 멸종 (0) | 2007.04.13 |
美역사교과서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0) | 200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