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보 걷어내고 준설 최소화, 썩은 물이 1~2급수로… ‘태화강의 교훈’ 본문
보 걷어내고 준설 최소화, 썩은 물이 1~2급수로… ‘태화강의 교훈’
맑아진 태화강… 상류 오염원 차단 주력, 모래톱 살리고 인공물 철거
‘거꾸로’ 4대강… 콘크리트 보 곳곳 설치, “수심 6m” 대대적 준설
경향신문 | 울산 | 백승목 기자 | 입력 2010.04.18 18:42 | 수정 2010.04.19 01:53 | 누가 봤을까? 40대 남성, 울산
현재 울산의 대표적인 막걸리 브랜드는 '태화루'다. '태화루'가 생기기 전에는 '태화강'이란 막걸리가 있었다.
'태화강'에 이어 '태화루' 막걸리를 만드는 울산탁주 김홍수 대표(65)는 10여년 전 어느날 밤의 일화를 소개했다. 양조장 야간 당직실로 불콰하게 취한 한 시민의 항의전화가 걸려왔다는 것이다.
울산 남산에서 내려다본 태화강 전경
"거기 태화강이제? 느그들, 태화강 똥물로 막걸리를 맹글었제? 안그라믄 꼴랑 막걸리 한 통 묵고 우째 이리 인사불성이 되노 말이다."
시민 박성준씨(48·울산 중구 태화동)도 "당시 썩은 강에서 풍기는 악취 때문에 코를 막아야 했다"고 회고했다.
2006년 울산 태화강 방사보를 철거하는 광경그러나 지금의 태화강에는 사계절 내내 맑은 물이 흐른다. 30~45㎝ 크기의 황어떼가 산란을 위해 힘차게 상류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난달 중순부터 육안으로 확인된 것만 2000마리가 넘는다. 매년 회귀하는 연어도 2003년 5마리에서 지난해 무려 614마리로 폭증했다. 또 은어·버들치·각시붕어 등 41종의 어류를 비롯해 430종의 동식물들이 태화강에 산다.
태화강은 이제 울산뿐 아니라 전국적인 '명물'로 자리 잡았다. 특히 4대강 사업 논란이 일면서 태화강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울산시의 '태화강 살리기 사업'은 1997년부터 서막을 올렸다. 울산항으로 유입되는 모래를 막기 위해 87년 설치한 수중보(防沙洑·높이 1m, 길이 600m)의 양 끝부분을 97년(49m)과 98년(40m)에 일부 철거한 것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당시 상류에서 내려온 토사가 쌓이면서 수질오염 가중, 하천 생태통로 차단, 홍수 조절능력 저해 등 문제점이 대두됨에 따라 방사보를 시험 철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일부 철거한 것에 불과한데도 수질 개선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95년 9.8㎎/ℓ, 96년 11.3㎎/ℓ으로 기준치(3㎎/ℓ)의 3배 이상이던 태화강의 연평균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98년 7.9㎎/ℓ, 2005년 말 2.7㎎/ℓ으로 뚝 떨어진 것이다.
이에 고무된 울산시는 2005년부터 보와 같은 인공시설물 대신 자연생태 복원에 무게를 둔 태화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실천하기 시작했다. 특히 97~98년 부분 철거됐던 수중보를 2006년 완전 철거했다. 보를 철거하자 태화강의 연평균 BOD는 1~2급수 수준인 2006년 2.6㎎/ℓ, 지난해 말 2.0㎎/ℓ이 됐다. 보 철거와 함께 딱딱한 콘크리트 제방을 대부분 걷어냈다. 나무·풀·돌 같은 자연생태재료를 최대한 이용해 하천 제방과 하도·저수로 등을 정비했다. 하천 곳곳에 퇴적된 '모래톱'은 되도록 원형을 보존했다. 상류에는 하수처리장을 설치했다. 생활·축산 오·폐수의 유입을 막기 위해서였다. 강 바닥 준설은 환경단체의 의견을 반영해 최소화했다.
'생명의 강'으로
방사보 철거 후 생태계가 복원돼 유채꽃밭 등을 찾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 울산시 제공
박청길 부경대 교수와 박재현 인제대 교수, 김좌관 부산가톨릭대 교수 등 전문가들은 "수중보를 철거하고, 보 때문에 쌓인 오염퇴적층만을 최소한으로 준설하는 등 교과서적인 원칙을 지킨 덕분에 태화강이 살아났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반면 4대강 사업의 경우 최대 수심 6m를 유지하려는 대대적인 준설과 여러 개의 보 설치로 생태계 파괴가 우려된다"면서 "이는 태화강과 매우 다른 방향으로 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태화강'에 이어 '태화루' 막걸리를 만드는 울산탁주 김홍수 대표(65)는 10여년 전 어느날 밤의 일화를 소개했다. 양조장 야간 당직실로 불콰하게 취한 한 시민의 항의전화가 걸려왔다는 것이다.
울산 남산에서 내려다본 태화강 전경
"거기 태화강이제? 느그들, 태화강 똥물로 막걸리를 맹글었제? 안그라믄 꼴랑 막걸리 한 통 묵고 우째 이리 인사불성이 되노 말이다."
태화강은 이제 울산뿐 아니라 전국적인 '명물'로 자리 잡았다. 특히 4대강 사업 논란이 일면서 태화강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울산시의 '태화강 살리기 사업'은 1997년부터 서막을 올렸다. 울산항으로 유입되는 모래를 막기 위해 87년 설치한 수중보(防沙洑·높이 1m, 길이 600m)의 양 끝부분을 97년(49m)과 98년(40m)에 일부 철거한 것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당시 상류에서 내려온 토사가 쌓이면서 수질오염 가중, 하천 생태통로 차단, 홍수 조절능력 저해 등 문제점이 대두됨에 따라 방사보를 시험 철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일부 철거한 것에 불과한데도 수질 개선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95년 9.8㎎/ℓ, 96년 11.3㎎/ℓ으로 기준치(3㎎/ℓ)의 3배 이상이던 태화강의 연평균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98년 7.9㎎/ℓ, 2005년 말 2.7㎎/ℓ으로 뚝 떨어진 것이다.
방사보 철거 후 생태계가 복원돼 유채꽃밭 등을 찾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 울산시 제공
박청길 부경대 교수와 박재현 인제대 교수, 김좌관 부산가톨릭대 교수 등 전문가들은 "수중보를 철거하고, 보 때문에 쌓인 오염퇴적층만을 최소한으로 준설하는 등 교과서적인 원칙을 지킨 덕분에 태화강이 살아났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반면 4대강 사업의 경우 최대 수심 6m를 유지하려는 대대적인 준설과 여러 개의 보 설치로 생태계 파괴가 우려된다"면서 "이는 태화강과 매우 다른 방향으로 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時事(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학사·관 99.7%가 친MB단체에서 '한솥밥' (0) | 2010.04.20 |
---|---|
[4·19 혁명 50돌] 4·19세대 '기억과 회한' (0) | 2010.04.19 |
일본이 폐기한 ‘토건국가’ 길로 가는 한국 (0) | 2010.04.13 |
이게 바로 떠어검 증거 입니다~~~포착 했습니다~~돈을 줬어요 (0) | 2010.04.12 |
"軍상황일지, 최초보고 9시15분" 파장 (0) | 201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