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미국 사이언스 誌. 천안함 어뢰 증거물에 쓴 1번은 가짜증거 본문

.....敎育(EDU)

미국 사이언스 誌. 천안함 어뢰 증거물에 쓴 1번은 가짜증거

AziMong 2010. 5. 23. 07:25

the free hri*** the free님프로필이미지

 

 

 

 

네이쳐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과학 학술지인 미국 사이언스 誌에서 전세계에서 가장 부식 및 온도변화, 충격에 강한 물에녹지 않는 필기도구용 잉크 및 중어뢰에 관한 정보를 찾아본 결과. (현재 천안함 증거와 같이 칼라, 형태가 보존되고 해수에서 50일이상을 기준으로 함)

 

1. 온도: 80도(섭씨)

            필기용으로는 250도(섭씨) 이 중 금속에 사용가능한 것은 160도(섭씨), 잉크자체가 부식시키지 않는  것은 80도(섭씨)      인쇄 및 도료용으로는 1500도(섭씨)까지 이론적으로 가능하나  천안함 증거물이라는 것에 써 있는 1 번이라는 글씨는 인쇄된 것이 아닌 필기도구로 쓴 것이고, 필기용 으로 보아야 하며, 섬유나 지류에   사용하는 250도 의 내열성을 가지는 잉크는 금속에 사용시 내열성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부식이 금 방됨.

            따라서, 금속에 사용가능한 것은 160도 인데, 이 잉크는 사용하는 즉시 금속표면을 잉크자체가 부식   시킴(금속공예 및 선박용 잉크). 천안함 증거라는 1번 글씨는 오히려 주변보다 금속표면 부식이 약  함. 따라서 배제하고..

             결국 금속표면을 부식시키지 않는 80도까지만 버틸 수 있음.

 

 

 

2. 어뢰폭발시 증거로 제출한 부위에 발생하는 열: 최소 100도(섭씨) 최대 600도(섭씨)이상 최소 2초간 발생 0.01초 이상 순간적으로 100도(섭씨)에 위의 잉크가 노출될 경우 잉크는 바로 흑색으로 변색됨.

버블제트 현상은 최저 200도의 폭발열은 있어야 함.

또한, 최소 40%이상 기화되어(잉크가 물속에서도 기화되면 녹아 없어짐) 현재의 필적과 같이 획의 끝부분은 절대로 남을 수 없음.

 

이후 20도이하의 해수에 노출될 경우 조각조각나서 최장 일주일 이내에 흔적도 없이 사라짐.

 

3. 7년전에 발견했던 어뢰의 4호 글씨는 어떻게 남았을까?

   불발된 어뢰이거나, 경어뢰임.

   (내용추가: 이미 언론에서 보도한 대로, 4호가 씌여진 어뢰는 이번과 같은 폭발을 일으키는 어뢰가 아닙니 다.)

 

이상의 사실을 확인하고, 사이언스 誌에 사실확인 요청을 해 놓았습니다.

제가 해당분야 언론 커뮤니케이션을 잘 몰라서, 이 사실에 대해 저보다 더 정확하게 사실확인을 해 주실분을 찾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