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있는 뿌리깊은 이야기
<과학> 영장류 이동 경로는 亞→阿였나 본문
<과학> 영장류 이동 경로는 亞→阿였나
연합뉴스 | 입력 2010.10.30 10:50 | 누가 봤을까? 50대 남성, 대전
(서울=연합뉴스) 인간과 긴팔원숭이, 침팬지 등을 포함한 꼬리 없는 영장류를 지칭하는 유인원들은 지금까지 아프리카에서 기원해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갔다는 것이 지배적인 학설이었지만 거꾸로 이들이 아시아에서 시작해 아프리카로 이동했을 것임을 시사하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됐다고 사이언스 데일리와 뉴욕타임스가 29일 보도했다.
프랑스 푸아티에 대학의 장-자크 예거 교수가 이끄는 미국.프랑스 연구진은 리비아 중부의 두르 아트-탈라 단애 지대에서 발견된 3천900만년 전 유인원 화석들이 세 개의 분명히 다른 종이며 이는 이전에 유인원들이 진화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화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이들은 이처럼 다른 유인원들이 이 시기에 갑자기 등장한 것은 두 가지 가설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나는 이 시기 이전의 아프리카 유인원 화석 기록에 큰 공백이 있을 가능성이지만 지난 100년 동안 북아프리카의 에오세(약 5천500만~3천800만년 전) 화석 표본들이 매우 철저하게 수집됐다는 점, 또 이번에 발견된 화석 이전의 유인원 화석에서 다양성이 발견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설득력은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진이 제시하는 보다 설득력 있는 설명은 몇몇 유인원 종들이 약 3천900만년 전 다른 대륙으로부터 건너와 아프리카에서 대량 서식하게 됐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종의 분화에 극도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 그리고 화석 증거를 남길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화석들과 이전에 북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화석들을 종합하면 유인원들이 아시아에서 발원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다.
미국 카네기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크리스토퍼 비어드는 "우리의 생각이 맞는다면 유인원들이 이처럼 이른 시기에 아프리카에 대량 이주했다는 것은 우리의 진화 역사에 정말로 핵심적인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시 아프리카는 섬 대륙이었으며 이들이 등장했을 때는 경쟁 대상이 없었다. 따라서 이후엔 유인원들 사이에 진화에 의한 분화가 왕성하게 일어났을 것이며 그 중 한 계통이 인간이 됐을 것이다. 우리의 초기 유인원 조상이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건너오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면 오늘날 인류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류의 최초 조상이 어디서 처음 생겨났는가 하는 문제는 고생물학에서 가장 큰 논란거리의 하나이며 비어드는 인류 조상의 아시아 발원설을 제기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비어드는 "리비아의 이 비상한 새 화석 유적지는 3천900만년 전 아프리카에 살던 유인원들 사이에 놀라운 다양성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이보다 이른 시기 유인원의 화석이라 할만한 것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처럼 다양한 화석들이 갑자기 등장한 것은 유인원들이 다른 지역에서부터 아프리카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매우 큼을 말해준다. 아프리카에서 이전의 화석들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우리가 이들 동물의 최초 진화지로 주목할 곳은 아시아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예거 교수는 발견된 유인원 화석들이 모습은 오늘날의 영장류와 비슷하지만 크기는 설치류 정도에 몸무게는 100~480g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이 중 최소한 한 종은 미얀마에서 발견된 적 있는 더 오래 전의 아시아 유인원과 유연관계에 있음이 분명하다. 이는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유인원의 이동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유인원이 아프리카에서 발원해 아시아로 이동했을 가능성, 따라서 아프리카에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유인원의 더 옛날 조상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진 않지만 이를 뒷받침할만한 화석 증거가 없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를 위해서 아프리카의 더 오래전 지층을 발굴할 필요가 있지만 만일 유인원이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이동했다면 이는 아종들의 확산에 결정적인 계기가 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왜냐하면 당시 아시아는 환경 조건이 아프리카보다 좋지 않았고 이들이 아프리카로 이주하지 않았다면 오늘날과 같은 다양한 유인원의 등장은 불가능했으리라는 것이다.
프랑스 푸아티에 대학의 장-자크 예거 교수가 이끄는 미국.프랑스 연구진은 리비아 중부의 두르 아트-탈라 단애 지대에서 발견된 3천900만년 전 유인원 화석들이 세 개의 분명히 다른 종이며 이는 이전에 유인원들이 진화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화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이들은 이처럼 다른 유인원들이 이 시기에 갑자기 등장한 것은 두 가지 가설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나는 이 시기 이전의 아프리카 유인원 화석 기록에 큰 공백이 있을 가능성이지만 지난 100년 동안 북아프리카의 에오세(약 5천500만~3천800만년 전) 화석 표본들이 매우 철저하게 수집됐다는 점, 또 이번에 발견된 화석 이전의 유인원 화석에서 다양성이 발견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설득력은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진이 제시하는 보다 설득력 있는 설명은 몇몇 유인원 종들이 약 3천900만년 전 다른 대륙으로부터 건너와 아프리카에서 대량 서식하게 됐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종의 분화에 극도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 그리고 화석 증거를 남길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화석들과 이전에 북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화석들을 종합하면 유인원들이 아시아에서 발원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다.
미국 카네기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크리스토퍼 비어드는 "우리의 생각이 맞는다면 유인원들이 이처럼 이른 시기에 아프리카에 대량 이주했다는 것은 우리의 진화 역사에 정말로 핵심적인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시 아프리카는 섬 대륙이었으며 이들이 등장했을 때는 경쟁 대상이 없었다. 따라서 이후엔 유인원들 사이에 진화에 의한 분화가 왕성하게 일어났을 것이며 그 중 한 계통이 인간이 됐을 것이다. 우리의 초기 유인원 조상이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건너오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면 오늘날 인류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류의 최초 조상이 어디서 처음 생겨났는가 하는 문제는 고생물학에서 가장 큰 논란거리의 하나이며 비어드는 인류 조상의 아시아 발원설을 제기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비어드는 "리비아의 이 비상한 새 화석 유적지는 3천900만년 전 아프리카에 살던 유인원들 사이에 놀라운 다양성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이보다 이른 시기 유인원의 화석이라 할만한 것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처럼 다양한 화석들이 갑자기 등장한 것은 유인원들이 다른 지역에서부터 아프리카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매우 큼을 말해준다. 아프리카에서 이전의 화석들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우리가 이들 동물의 최초 진화지로 주목할 곳은 아시아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예거 교수는 발견된 유인원 화석들이 모습은 오늘날의 영장류와 비슷하지만 크기는 설치류 정도에 몸무게는 100~480g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이 중 최소한 한 종은 미얀마에서 발견된 적 있는 더 오래 전의 아시아 유인원과 유연관계에 있음이 분명하다. 이는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유인원의 이동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유인원이 아프리카에서 발원해 아시아로 이동했을 가능성, 따라서 아프리카에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유인원의 더 옛날 조상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진 않지만 이를 뒷받침할만한 화석 증거가 없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를 위해서 아프리카의 더 오래전 지층을 발굴할 필요가 있지만 만일 유인원이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이동했다면 이는 아종들의 확산에 결정적인 계기가 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왜냐하면 당시 아시아는 환경 조건이 아프리카보다 좋지 않았고 이들이 아프리카로 이주하지 않았다면 오늘날과 같은 다양한 유인원의 등장은 불가능했으리라는 것이다.
'.....敎育(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층서 떨어지는 두살배기 구한 여고생의 용기 (0) | 2010.11.04 |
---|---|
96세 노모 오열에 71세 딸 “울지마, 엄마”… 이산가족 1차상봉 눈물의 .. (0) | 2010.11.01 |
북, 최전방 향해 총격…우발적 사고? 계획된 도발? (0) | 2010.10.30 |
"현미경 들여다보니 신라시대 천마도 보이네" (0) | 2010.10.29 |
700조원 생물자원 확보세계는 전쟁중인데… (0) | 201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