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獨木不成林〔독목불성림〕: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
- 獨不將軍〔독불장군〕: 남의 의견을 무시하고 혼자 모든 일을 처리하는 사람의 비유. 혼자서는 다 잘할 수 없으므로 남과 협조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 말.
- 讀書亡羊〔독서망양〕: 책을 읽다가 양을 잃어버린다는 뜻으로 다른 일에 정신이 뺏겨 중요한 일을 소홀히 하게 된다는 비유. 고사성어 검색
- 讀書百遍義自見〔독서백편 의자현〕: 어려운 책이라도 백 번 되풀이하여 읽으면 저절로 그 뜻을 알게 된다는 말.
- 讀書三昧〔독서삼매〕: 오로지 책읽기에만 골몰함.
- 讀書三到〔독서삼도〕: 독서를 하는 데 세 가지 행위에 이르러야 한다. 즉,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심득해야 한다.
- 讀書尙友〔독서상우〕: 책을 읽어서 옛날의 현인을 벗삼는다는 말.(출처 : 맹자 만장하)
- 讀書種子〔독서종자〕: 독서를 좋아하는 자손을 일컫는 말.(출처 : 해여총국)
- 獨也靑靑〔독야청청〕: 홀로 푸르다는 뜻으로, 홀로 높은 절개를 지켜 늘 변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 獨陽不生〔독양불생〕: 홀로서는 아이를 날 수 없듯이 반드시 상대가 있어야 한다는 뜻.(출처 : 곡양전)
- 督責之術〔독책지술〕: 조정에서 백성들을 구박하여 심하게 부리는 술책. (출처 : 사기 이사전)
- 獨學孤陋〔독학고루〕: 혼자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좁아서 정도(正道〕에 들어가기 어렵다는 말.
- 獨行우우〔독행우우〕: (우=足변에 禹) 세상 사람에게 구애됨이 없이 홀로 자기의 뜻을 행함.(출처 : 시경)
- 頓首再拜〔돈수재배〕:머리가 땅에 닿도록 두 번 절함.
- 豚蹄盂酒〔돈제우주〕: 돼지 발톱과 술 한 잔이라는 뜻으로 변변치 못한 음식 또는 물건.(출처 : 사기)
- 豚柵鷄栖〔돈책계서〕: 돼지 우리와 닭의 홰. 즉 촌락의 풍경을 이름.(출처 : 왕가의 사일시)
- 돌돌怪事〔돌돌괴사〕: (돌=口변에 出)놀랍고 괴상한 일.(출처 : 진서)
- 돌돌逼人〔돌돌핍인〕: 돌돌은 놀라서 이상히 여기는 소리 또는 모양. 기예등이 뛰어난 것을 보고 경탄함을 이름.(출처 : 事類全書)
- 突不燃不生煙〔돌불연불생연〕: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소문에는 반드시 그 근원이 있다는 말
- 東家食 西家宿〔동가식 서가숙〕: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이 집 저 집에서 얻어먹고 지냄을 이르는 말.
-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란 뜻으로, 이왕이면 보기 좋은 것을 택한다는 말.
- 同工異曲〔동공이곡〕: 기술이나 재주는 같으나 그 곡이 다름, 곧 기교는 훌륭하나 그 내용이 서로 다르다는 말의 비유
- 同歸殊塗〔동귀수도〕: 천하의 이치는 귀착이 같으나 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출처 : 역경 계사하전)
- 同根連枝〔동근연지〕: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 즉, 형제자매(兄弟姉妹)를 일컫는 말이다.
- 同氣相求〔동기상구〕: 기풍과 뜻을 같이하는 사람은 서로 동류를 찾아 모인다.
- 洞洞屬屬〔동동촉촉〕: 매우 공경하고 삼가하여 조심스러운 모양.
- 同文同軌〔동문동궤〕: 천하를 통일하는 것을 뜻함. 同文은 문자를 통일하게 하는 것이고, 同軌는 법을 같게 한다는 것이다.
- 東問西答〔동문서답〕: 묻는 말에 대하여 엉뚱하게 답함.
- 東奔西走〔동분서주〕: 동으로 서로 분주하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 同床異夢〔동상이몽〕: 같은 침상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 冬扇夏爐〔동선하로〕: 겨울 부채와 여름 화로란 뜻으로, 당장 소용이 없는 물건의 비유.
- 同聲相應〔동성상응〕: 같은 소리는 서로 응하여 어울린다. 의견을 같이 하면 자연히 서로 합치게 된다는 의미.
- 同性異俗〔동성이속〕: 사람의 성질은 본래는 같으나 습관에 따라 변함을 뜻함.
- 同惡相助〔동악상조〕: 악인은 악을 이루기 위하여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끼리의 도움을 이름.(출처 : 사기)
- 同業相仇〔동업상구〕: 같은 업을 경영하는 사람은 서로 배척함을 이름.(출처 : 소서)
- 同而不和〔동이불화〕: 겉으로는 동의를 표시하면서도 내심은 그렇지 않음.
- 棟樑之材〔동량지재〕: 한 집안이나 한 나라의 기둥이 될 만한 인물.
- 冬溫夏淸〔동온하청〕: 부모를 섬김에 있어,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 드린다는 뜻.
- 童牛角馬〔동우각마〕: 뿔이 없는 송아지와 뿔이 있는 말이라는 뜻으로 도리에 어긋남을 비유한 말
- 同舟相救〔동주상구〕: 아는 사이거나 모르는 사이거나 다급한 경우를 함께 만났을 때는 서로 도와주게 됨의 비유
- 同舟濟江〔동주제강〕: 원수끼리도 한가지 일을 위해서는 같은 배를 타고 서로 구한다는 오월동주의 고사.
- 斗斛之祿〔두곡지록〕: 두곡은 한말과 한섬. 얼마 안되는 小官(소관)의 녹을 이름.(출처 : 한유 제십이랑문)
- 斗南一人〔두남일인〕: 두남은 북두칠성의 남쪽. 즉, 온 천하에서 제일 가는 현재(賢才)를 의미한다.
- 頭童齒豁〔두동치활〕: 산에 초목이 없음을 동이라고 하고, 활은 이가 빠져서 구멍이 보임을 이른다. 즉 노인을 형용함.(출처 : 한유 진학해)
- 杜門不出〔두문불출〕: 문을 닫아걸고 밖에 나가지 않음. 곧, 집안에만 틀어박혀 세상 밖으로 나다니지 아니함.
- 斗소之人〔두소지인〕: 한 말 두 되 들이의 대그릇 같은 사람. 즉, 사람의 식견이나 그릇이 좁은 것을 비유한다.
- 杜漸防萌〔두점방맹〕: 애시당초 싹이 나오지 못하도록 막는다. 점(漸)은 사물의 처음. 맹(萌)은 싹. 곧 좋지 못한 일의 조짐이 보였을 때 즉시 그 해로운 것을 제거해야 더 큰 해(害)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
- 杜 撰 〔두 찬〕: 저술(著述)한 것에 틀린 곳이 많아서 믿을 수 없는 것을 일컫는다.
- 斗酒不辭〔두주불사〕: 말 술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매우 주량이 큰 것을 일컬음. 고사성어 검색
- 得意滿面〔득의만면〕: 뜻을 이루어 기쁜 표정이 얼굴에 가득함.
- 得一忘十〔득일망십〕: 한 가지를 얻고 열 가지를 잃어버림. 기억력이 좋지 못함을 뜻한다.
- 登高自卑〔등고자비〕: 높은 곳에 올라가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는 말로 일을 하는 데는 반드시 차례를 밟아야 한다는 말
- 登樓去梯〔등루거제〕: 높은 누에 오르게 한 후 사다리를 치운다는 뜻으로 어려운 곳에 빠지게 함을 일컫는 말
- 登 龍 門 〔등 용 문〕: 황하 상류에 있는 용문의 급류를 잉어가 오르면 용이 된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출세할 수 있는 관문을 뜻함. 고사성어 참고
- 燈下不明〔등하불명〕: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것을 도리어 잘 모름을 비유해 이르는 말.
- 燈火可親〔등화가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하여 글읽기에 아주 좋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