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極哀生〔낙극애생〕: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김.
落膽喪魂〔낙담상혼〕: 쓸개가 떨어지고 혼을 잃음. 몹시 놀라 정신이 없음을 일컫는다.
落落長松〔낙락장송〕: 가지가 아래로 축축 늘어진 키 큰 소나무.
落眉之厄〔낙미지액〕: 눈썹에 떨어진 액 즉 갑자기 들이닥친 재앙이라는 뜻
樂生於憂〔낙생어우〕: 즐거움은 근심하는 가운데에서 생긴다는 말.
洛陽紙價貴〔낙양지가귀〕: 서진(西晋)의 문학자 좌사(左思)가 제도부(齊都賦)와 삼도부(三都賦)를 지었을 때 낙양(洛陽) 사람들이 너도나도 베꼈기 때문에 낙양의 종이가 모자라 비싸진 고사에서 유래. 저서가 많이 팔리는 것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낙양지귀(고사성어 검색)
樂而不淫〔낙이불음〕: 즐기되 빠지지 아니함. 즐거움의 도를 지나치지 아니함.
樂而不思蜀〔낙이불사촉〕: 타향(他鄕)의 생활이 즐거워 고향 생각을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눈앞의 즐거움에 겨워 근본을 잊게 될 때를 비유하기도함.
落 人 後〔낙 인 후〕: 남보다 뒤지는 것이나 상대에 지는 것
落穽下石〔낙정하석〕: 함정에 빠진 사람을 건져주지 안고 오히려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을 오히려 더 괴롭힘을 비유한 말
落花流水〔낙화유수〕: ①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란 뜻으로, 가는 봄의 정경을 나타낸 말. ②낙화에 정이 있으면 유수 또한 정이 있어 그것을 띄워 흐를 것이란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는 심정을 비유한 말.
難攻不落〔난공불락〕: 공격하기 어려워 좀처럼 함락되지 아니함.
難事 必作易〔난사 필작이〕: 어려운 일은 쉬운 일에서 일어난다는 말
爛商公論〔난상공론〕: 여러 사람들이 잘 의논 함
難上之木 不可仰〔난상지목불가앙〕: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라.
爛商討議〔난상토의〕: 낱낱이 들어 잘 토의함.
亂臣賊子〔난신적자〕: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 또는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
暖衣飽食〔난의포식〕: 따뜻한 옷을 입고 음식을 배불리 먹어 衣食에 부자유함이 없음.
南郭濫吹〔남곽남취〕: 학문과 기예에 전문적 지식과 체계나 조리도 없이 함부로 날뛰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難兄難弟〔난형난제〕: 형이 더 낫다고 하기도 어렵고 아우가 더 낫다고 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우열을 가리기 어렵고 서로 비슷함.(동)莫上莫下(막상막하), 伯仲之勢(백중지세)
南柯一夢〔남가일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 영화. 고사성어 검색
南橘北枳〔남귤북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나무로 변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환경에 따라 악하게도 되고 선하게도 된다는 뜻고사성어 검색
南蠻격舌〔남만격설〕: 남방의 미개 민족들의 말은 때까치의 소리와 같다는 뜻으로 알아들을 수 없는 외국 사람의 말을 멸시하여 이르는 말
南面之位〔남면지위〕: 임금이 앉는 자리의 방향이 남향이었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임금의 자리'를 가리키는 말
男負女戴〔남부여대〕: 남자는 등에 짐을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을 당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떠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南船北馬〔남선북마〕: 남쪽은 배로 북쪽은 말로. 바쁘게 여기저기를 돌아다님
濫 우〔남 우〕: 남(濫)은 실제로는 능력이 없으면서 함부로 한다는 뜻. 우( )는 대나무로 만든 악기. 즉, '우( )를 함부로 분다'는 뜻이다.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것처럼 속여 외람되이 높은 벼슬을 차지하는 것을 말
男尊女卑〔남존여비〕: 남성을 존중하고 여성을 비천하게 여기는 생각.
南風不競〔남풍불경〕: 남방지역의 풍악은 미약하고 생기가 없다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힘 또는 세력을 떨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狼子野心〔낭자야심〕: 이리 새끼는 아무리 길들여 기르려 해도 야수의 성질을 벗어나지 못한다. 본래 성질이 비뚤어진 사람은 아무리 은혜를 베풀어도 끝내는 배반한다는 비유로 쓰인다.
囊中取物〔낭중취물〕: 주머니 속의 물건이란 뜻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물건을 이르는 말.
內省不구〔내성불구〕: 마음 속에 조금도 부끄러울 것이 없음. 즉 마음이 결백함을 뜻한다.
內憂外患〔내우외환〕: 나라 안팎의 근심 걱정거리.
內柔外剛〔내유외강〕: 속마음은 약한데 겉으로는 강한 체함.
內潤外朗〔내윤외랑〕: 옥의 광택이 안에 함축된 것을 내윤(內潤)이라 하고, 밖으로 나타난 것을 외랑(外朗)이라 함. 재주와 덕망을 겸비한 것을 비유한다.
內助之功〔내조지공〕: 안에서 돕는 공. 아내가 집안 일을 잘 다스려 남편을 돕는 일을 말한다.
內淸外濁〔내청외탁〕: 마음은 깨끗하나 행동은 흐린 것처럼 함. 군자(君子)가 난세(亂世)를 당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 하는 처세술.
怒甲移乙〔노갑이을〕: 어떤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 하다.
老當益壯〔노당익장〕: 사람은 늙을수록 더욱 기운을 내어야 하고 뜻을 굳게 해야 한다. 줄여서 노익장(老益壯)이라고도 쓴다.
老萊之戱〔노래지희〕: 주나라의 노래자가 칠십세 때 어린아이의 옷을 입고 어린애 장난을 하여 늙은 부모를 기쁘게 해드린 고사
路柳墻花〔노류장화〕: 누구든지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이라는 뜻으로 '노는 계집' 또는 '창부'를 가리키는 말
駑馬十駕〔노마십가〕: 재주가 없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에 미칠 수 있음의 비유 고사성어 검색
怒發大發〔노발대발〕: 몹시 크게 성을 냄.
老生之夢〔노생지몽〕: 한때의 헛된 부귀 영화.
怒蠅拔劍〔노승발검〕: 모기보고 칼 빼기 즉 작은 일로 노함을 비유한 말
勞心焦思〔노심초사〕: 애를 쓰고 속을 태움.
老牛 지牘之愛〔노우 지독지애〕: 늙은 소가 송아지 새끼를 핥아 주는 사랑, 즉 자식에 대한 깊은 사랑의 비유
勞而無功〔노이무공〕: 온갖 애를 썼으나 아무런 보람이 없음
鹿死不擇音〔녹사불택음〕: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진 사슴도 죽게 되었을 때는 그 아름다운 소리를 가려 낼 여유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도 위급한 상황이 되면 악성이 나온다는 말
綠衣紅裳〔녹의홍상〕: 연두색 저고리와 다홍치마란 뜻으로, 젊은 여인의 고운 옷차림을 이르는 말.
論功行賞〔논공행상〕: 공(功〕이 있고 없음이나 크고 작음을 따져 거기에 알맞은 상을 줌. 고사성어 검색
農者 天下之大本〔농자 천하지대본〕: 농업은 천하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큰 근본이라는 말. 농업을 장려하는 말.
弄瓦之慶〔농와지경〕: 질그릇을 갖고 노는 경사. 딸을 낳은 기쁨을 말한다.
弄璋之慶〔농장지경〕: 장(璋)으로 만든 구기를 갖고 노는 경사. 아들을 낳은 기쁨을 말한다.
籠鳥戀雲〔농조연운〕: 새장 속에 있는 새는 구름을 그리워 한다. 곧 몸이 속박 당한 사람은 자유를 갈망한다는 뜻이다.
累卵之勢〔누란지세〕: 쌓아올린 달걀이 금방 무너질 것 같이 몹시 위태로운 형세.(=累卵之危, 累卵之危(누란지위)고사성어 검색
訥言敏行〔눌언민행〕: 말은 더듬으나 실지 동작은 빠르고 능란함 고사성어 검색
陵遲處斬〔능지처참〕: 머리·몸·손·팔다리를 토막 쳐서 죽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