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國利民福〔국리민복〕: 나라의 이익과 국민의 행복.
- 國泰民安〔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살기가 평안함.
- 群鷄一鶴〔군계일학〕: 무리 지어 있는 닭 가운데 있는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여러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있는 뛰어난 한 사람을 이르는 말.고사성어 검색
- 群盲評象〔군맹평상〕: 여러 맹인이 코끼리를 평한다는 뜻으로 사물을 자신의 주관과 좋은 소견으로 그릇 판단한다는 의미의 말 고사성어 검색
- 群雄割據〔군웅할거〕: 여러 영웅이 세력을 다투어 땅을 갈라 버티고 있는 형세.
- 君子務本〔군자무본〕: 군자는 근본에 힘쓴다.
- 君子大路行〔군자대로행〕: 군자는 큰길을 택해서 간다는 뜻으로, 군자는 숨어서 일을 도모하거나 부끄러운 일을 하지 않고 옳고 바르게 행동한다는 말.
- 君子不器〔군자불기〕: 군자는 일정한 용도로 쓰이는 그릇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군자는 한 가지 재능에만 얽매이지 않고 두루 살피고 원만하다는 말. 고사성어 검색
- 君子有三戒〔군자유삼계〕: 군자가 경계해야 할 세 가지 일. 젊었을 때는 색욕을 경계하고 장년기에는 다툼을 경계하고 노년기에는 탐욕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
- 君子有三畏〔군자유삼외〕: 군자가 갖는 세 가지의 두려움, 즉 천명을 거역하지 않는가 대인을 거역하지 않는가, 성인의 말씀에 어긋나지 않는가
- 君子豹變〔군자표변〕: 군자의 언행은 표범의 무늬처럼 선명하게 변한다는 뜻으로, 군자는 잘못을 깨달으면 곧바로 분명하게 고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고사성어 검색
- 君子之交 淡若水〔군자지교 담약수〕: 군자의 사귐은 담백하기가 물과 같다. 즉, 군자의 사귐은 물을 마시는 것처럼 담박하기 때문에 영구히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물이 없으면 금방 갈증을 느끼므로 계속 찾게 된다.)
- 窮寇莫追〔궁구막추〕곤경에 빠져 있는 자를 건드리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뜻
- 窮年累世〔궁년누세〕: 궁년은 자기의 한 평생, 누세는 자손 대대, 즉 본인의 한 평생과 자손 대대란 말.
- 窮鼠설猫〔궁서설묘〕: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뜻으로, 약자라도 궁지에 빠지면 필사적으로 적에게 대항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窮餘一策〔궁여일책〕: 막다른 처지에서 짜내는 한 가지 계책.
- 窮鳥入懷〔궁조입회〕: 쫓기던 새가 사람의 품안으로 날아든다는 뜻으로, 사람이 궁하면 적에게도 의지한다는 말.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을 위해 남을 교묘하게 속이는 모략이나 술수.
- 權不十年〔권불십년〕: 권세는 십 년을 못 간다는 말. 권세가 오래 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 勸善懲惡〔권선징악〕: 착한 일은 권장하고 악한 일은 징계함.
- 貴鵠賤鷄〔귀곡천계〕: 먼 데 것을 귀하게 여기고 가까운 데 것을 천하게 여기는 것이人之常情임을 말함.
- 龜背刮毛〔귀배괄모〕: 없는 거북 등의 털을 벗겨 뜯는다. 없는 것을 애써 구하려고 하는 것을 비유한다.
- 隙駒光陰〔극구광음〕: 달리는 말을 문틈으로 보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세월이 빨리 흐름을 뜻함.
- 克天下以屈臣〔극천하이굴신〕: 신하에 굴하고 천하에 이긴다는 뜻으로 체면을 버리고 신하의 의견에 따름으로써 목적을 달성함을 말함
- 僅僅姉姉〔근근자자〕: 매우 부지런하고 정성스러움
- 近墨者黑〔근묵자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을 가까이하면 물들기 쉽다는 말.
- 勤將補拙〔근장보졸〕: 서투른 것을 보충하는 데에는 부지런함이 으뜸임을 뜻한다.
- 槿花一日自爲榮〔근화일일자위영〕: 아침에 피었다 저녁에 지는 무궁화 같이 사람의 영화는 덧없다.
- 金科玉條〔금과옥조〕: 금옥과 같은 법률의 뜻으로, 소중히 여기고 지켜야 할 규칙이나 교훈.
- 金구無缺〔금구무결〕: 금으로 만든 단지처럼 완전하고 결점이 없음
- 金蘭之契〔금란지계〕: 사이 좋은 벗끼리 마음을 합치면 단단한 쇠도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의 향기와 같다는 뜻. 아주 친밀한 친구 사이를 이름.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이르는 말.
- 金石牢約〔금석뇌약〕: 금과 돌같은 굳은 언약. 서로 언약함이 매우 굳음을 비유.
- 金石盟約〔금석맹약〕: 금과 돌같이 굳게 맹세해 맺은 약속 今昔之感〔금석지감〕: 지금과 옛날을 비교할 때 차이가 매우 심하여 느껴지는 감정.
- 金石之交〔금석지교〕: 쇠와 돌처럼 변함없는 굳은 사귐.
- 金舌蔽口〔금설폐구〕: 금으로 혀를 만들어 입을 가린다. 입을 꼭 다물고 말하지 아니함.
- 金聲玉振〔금성옥진〕: 金은 鍾, 聲은 宣, 玉은 磬, 振은 收를 의미. 팔음을 합주할 때 먼저 종을 쳐서 그 소리를 베풀고 마지막에 경을 쳐서 그 운을 거두어 주악을 끝냄. 轉하여 智德이 갖추어 있음을 비유한다.
- 金城湯池〔금성탕지〕: 금으로 만들고 끓는 물의 연못이 있어 가까이 가지 못하는 매우 견고한 성고사성어 검색
- 琴瑟相和〔금실상화〕: 거문고와 비파의 소리가 화합하듯, 부부 사이가 썩 좋음의 비유.= 琴瑟之樂(금슬지락)고사성어 검색
- 金烏玉兎〔금오옥토〕: 금까마귀와 옥토끼란 뜻으로, 해와 달을 가리키는 말.
- 錦衣還鄕〔금의환향〕: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간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성공하여 고향에 돌아감을 이르는 말.
- 金枝玉葉〔금지옥엽〕: 금으로 된 나뭇가지와 옥으로 만든 잎이란 뜻으로, 임금의 자손이나 집안, 또는 귀여운 자식을 이르는 말.
- 給水功德〔급수공덕〕: 물을 길어 목마른 사람에게 주는 공덕으로 불교에서 사용하는 말
- 錦衣玉食〔금의옥식〕: 좋은 옷과 좋은 음식. 사치스러운 생활을 일컬음.
- 氣高萬丈〔기고만장〕: 일이 뜻대로 잘 되어 기세가 대단하거나, 또 화를 낼 때 지나치게 자만하는 형세.
- 箕구之業〔기구지업〕: 선대(先代)의 업(業)을 완전히 이어받음을 뜻한다.
- 驥服鹽車〔기복염차〕: 천리마가 소금 수레를 끈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가 낮은 지위에 있거나 하찮은 일에 쓰임의 비유.
- 起死回生〔기사회생〕: 죽을 뻔하다가 다시 살아남.
- 奇想天外〔기상천외〕: 보통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기발하고 엉뚱한 생각.
- 己所不欲 勿施於人〔기소불욕 물시어인〕: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도 시키지 말아라.
- 起承轉結〔기승전결〕: 한시(漢詩〕 구성법의 한 가지. 시의를 일으키는 첫 번째 `기(起〕', 받아 주는 둘째 `승(承〕', 변화를 주는 셋째 `전(轉〕', 전체를 마무리하는 넷째 `결(結〕'을 말함. 전(轉〕하여, 일이 일어나고 발전하고 변하고 끝나는 과정을 이름.
- 杞 憂〔기 우〕: 중국의 주왕조(周王朝〕 시대, 기(杞〕나라에 어떤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거나 땅이 꺼지면 어떻하나' 하는 걱정으로 잠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음식도 제대로 먹지 못하며 고민하였다는 고사(故事〕. 쓸데없는 걱정이나 무익한 근심을 이르는 말.=기인지우고사성어 검색
- 旣借堂 又借房〔기차당 우차방〕: 대청 빌면 안방 빌자 한다. 체면없이 이것저것 요구함.
- 吉祥善事〔길상선사〕: 매우 기쁘고 좋은 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