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官大爵〔고관대작〕: 지위가 높은 큰 벼슬자리.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 股肱之臣〔고굉지신〕: 자신의 팔.다리 같이 믿고 중요하게 여기는 신하 고사성어 참고
- 孤軍奮鬪〔고군분투〕: 수가 적고 후원 없는 외로운 군대가 힘겨운 적과 싸움. 또는, 홀로 여럿을 상대로 싸움.
- 古今東西〔고금동서〕: 예와 지금, 동양과 서양. 때와 지역을 통틀어 일컫는 말.
- 高談峻論〔고담준론〕: ①고상하고 준엄한 언론. ②잘난 체하고 과장하여 말함을 이름.
- 高臺廣室〔고대광실〕: 굉장히 크고 좋은 집.
- 叩頭謝罪〔고두사죄〕: 머리를 조아려 사죄함
- 膏粱珍味〔고량진미〕: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 孤立無援〔고립무원〕: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데가 없음.
- 枯木死灰〔고목사회〕: 외형은 마른나무와 같고 마음은 죽은 재와 같이 되어 생기가 없음의 비유
- 枯木生花〔고목생화〕: 마른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사람이 뜻밖의 행운을 만나게 됨의 비유.
- 故事成語〔고사성어〕: 옛날 있었던 일에서 만들어진 어구(語句〕.
- 孤城落日〔고성낙일〕: 외로운 성에 지는 해란 뜻으로, 세력이 다하여 의지할 데가 없는 외로운 처지를 비유한 말. 고사성어 참고
- 高聲放歌〔고성방가〕: 큰소리로 떠들고 마구 노래 부름.
- 姑息之計〔고식지계〕: 근본 해결책이 아닌 임시로 편한 것을 취하는 계책.
- 孤臣寃淚〔고신원루〕: 외로운 신하의 원통한 눈물
- 孤身隻影〔고신척영〕: 외로운 몸과 그 몸의 그림자 하나뿐. 붙일 곳 없이 떠도는 외로운 신세라는 뜻이다.
- 苦肉之計〔고육지계〕: 적을 속이기 위해, 또는 어려운 사태를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제 몸을 괴롭혀 가면서까지 짜내는 계책.
- 孤掌難鳴〔고장난명〕: 외손뼉은 울릴 수 없다는 뜻으로, 상대 없이 싸울 수 없고, 혼자서는 일을 이룰 수 없다는 말.
- 顧左右而言他〔고좌우이언타〕: 양의 혜왕이 맹자와의 대화에서 대답이 궁하게 되자 신하에게 엉뚱한 얘기를 꺼냈다고 고사에서 나온 말로 이야기를 딴 데로 돌리고 얼버무리는 것을 뜻함
- 苦盡甘來〔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낙이 옴을 이르는 말.
- 曲肱之樂〔곡굉지락〕: 팔을 베개 삼아 누워 사는 가난한 생활이라도 도에 살면 그 속에 즐거움이 있다는 말.
- 曲突徙薪〔곡돌사신〕: 화재(火災)를 예방하기 위하여 굴뚝을 꼬불꼬불하게 만들고 아궁이 근처의 나무를 딴 곳으로 옮긴다. 즉, 화(禍)를 미연에 방지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사성어 참고
- 困窮而通〔곤궁이통〕: 손 쓸 도리가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면 오히려 활로가 생긴다는 뜻
- 困獸猶鬪〔곤수유투〕: 위급한 경우에느 짐승일지라도 적을 향해 싸우려 덤빔. 곧 궁지에 빠지면 약한 자가 도리어 강한 자를 해칠 수 있다는 뜻.
- 骨肉相殘〔골육상잔〕: 부자나 형제 또는 같은 민족간에 서로 싸움.
- 骨肉之親〔골육지친〕: 부모·자식·형제·자매 등의 가까운 혈족.
- 空谷供音〔공곡공음〕: 빈 골짜기의 발자욱 소리. 몹시 신기한 일, 뜻밖의 기쁨, 반가운 소식 등을 의미한다.
- 空理空論〔공리공론〕: 空 빌 공 理 다스릴 리(이) 空 빌 공 論 말할 론(논), 헛된 이치와 논의란 뜻으로, 사실에 맞지 않은 이론과 실제와 동떨어진 논의
- 公明正大〔공명정대〕: 마음이 공평하고 사심이 없으며 밝고 큼.
- 公序良俗〔공서양속〕: 공공의 질서와 선량한 풍속.
- 空手來空手去〔공수래공수거〕: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일생이 허무함을 이르는 말. 또, 재물을 모으려고 너무 욕심을 내지 말라는 말.
- 空前絶後〔공전절후〕: 비교할 만한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음.
- 共存共榮〔공존공영〕: 함께 살고 함께 번영함. 함께 잘 살아감.
- 空中樓閣〔공중누각〕: 진실성이 없는, 혹은 비현실적인 이야기나 문장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사성어 참고
- 過恭非禮〔과공비례〕: 지나친 공손은 오히려 예의에 벗어남.
- 誇大妄想〔과대망상〕: 현재의 분수보다 너무 지나치게 크게 생각하는 제 맘대로의 생각을 말한다.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밀밭을 지나가기만 해도 누룩 생각이 나서 취한다는 뜻으로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을 조롱하는 말
- 過而不改〔과이불개〕: 잘못하고서 고치지 않는 것.(그것을 잘못이라고 하는 것이다.)
- 過而不改是謂過矣〔과이불개시위과의〕: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그것을 '잘못'이라 하는 것이다.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오이 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않는다는 뜻으로, 의심받을 짓은 처음부터 하지 말라는 말. [고사성어]에 자세히
-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잘못을 하면 즉시 고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라.
- 寬仁大度〔관인대도〕: 마음이 너그럽고 인자하며 도량이 넓음.
- 官尊民卑〔관존민비〕: 관리는 높고 귀하며, 백성은 낮고 천하다는 사고 방식.
- 刮目相對〔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자세히 봄.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랍도록 향상된 것을 경탄하여 이르는 말. 고사성어 참고
- 曠官之刺〔광관지자〕: 관리가 직무를 게을리 하여 받는 비난. (출처:韓愈의 諍臣論)
- 光陰如流〔광음여류〕: 세월이 흐르는 물과 같이 빠름.
- 曠日持久〔광일지구〕: 세월을 헛되이 오랫동안 보낸다. 긴 세월을 보내고 나니 헛되이 세월만 지났다는 말로 쓰인다. 그냥, 긴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로도 쓰임.
- 掛 冠〔괘 관〕: 갓을 벗어 건다. 즉 관리와 관직을 버리고 사퇴하는 것을 의미
- 矯角殺牛〔교각살우〕: 소의 뿔을 바로 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결점이나 흠을 고치려는 일이 지나쳐 도리어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 巧發奇中〔교발기중〕: 때에 따라 던진 말이(교묘하게) 신기하게 들어 맞는 것. (출처 : 漢書郊祀志)
- 驕兵必敗〔교병필패〕: 자기 군대의 힘만 믿고 교만하여 적에게 위엄을 보이려는 병정은 적의 군대에게 반드시 패한다는 뜻.
- 巧言令色〔교언영색〕: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교묘히 꾸며서 하는 말과 아첨하는 얼굴빛.
- 矯枉過正〔교왕과정〕: 교왕은 구부러진 것을 바로잡음. 잘못을 바로 고치려다 지나쳐 오히려 나쁜 결과를 가져옴을 의미한다. 곧 어떤 일이 극(極)과 극(極)인 모양를 말함.(=矯枉過直교왕과직)
- 膠柱鼓瑟〔교주고슬〕: 기둥을 풀로 붙여 놓고 거문고를 탄다. 즉 어떤 규칙에 얽매여 변동을 모르는 것 또는 고집불통을 비유하는 의미
- 交淺言深〔교천언심〕: 교제한지는 얕지만 (얼마 않되지만) 말은 깊음(서로 심중을 털어 놓고 이야기 함. (출처:전국책)
- 狡토死양狗烹〔교토사양구팽〕: 교활한 토끼가 다 잡히고 나면 이번엔 충실한 사냥개가 잡아 먹힌다는 것으로 쓸모가 없어지자 언제 그랬느냐는 듯 없애버린다는 의미
- 狡토三窟〔교토삼굴〕: 슬기로운 토끼가 살아 남을 수 있는 것은 숨을 굴을 셋이나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사람이 난관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교모한 재주를 가지고 있음을 비유한 말
- 敎學相長〔교학상장〕: 가르치는 일과 배우는 일이 함께 되어야 자신의 학업이 향상된다는 뜻.
- 鳩居鵲巢〔구거작소〕: 비둘기가(제 집을 짓지 않고) 까치집에 들어 산다는 뜻으로 아내가 남편의 집을 자기 집으로 삼는데 비유. 또는, 남의 집을 빌어 사는 일의 비유.
- 舊官名官〔구관명관〕: 먼저 있었던 관리가 더 이름난(훌륭한)관리라는 뜻으로 신관보다 오랜 경험이 있는 구관이 일을 더 잘 처리한다는 말.
- 九曲肝腸〔구곡간장〕: 굽이굽이 깊이 서린 마음속.
- 狗尾續貂〔구미속초〕: 담비의 꼬리가 모자라 개꼬리를 잇는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 보잘것없는 것을 잇닿음
- 口尙乳臭〔구상유취〕: 입에서 젖내가 날 만큼 언행이 유치함
- 鳩首會議〔구수회의〕: (비둘기 머리 내밀 듯)머리를 맞대고 하는 회의.
- 九十春光〔구십춘광〕: ① 노인의 마음이 청년같이 �음을 이름 ② 봄의 석달 구십일 동안
- 口蜜腹劍〔구밀복검〕: 입에는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생각을 품고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笑裏藏刀)
- 苟安偸生〔구안투생〕: 한때의 편안을 꾀하여 헛되이 살아감.
- 九牛一毛〔구우일모〕: 여러 마리의 소의 털 중에서 한 가닥의 털. 곧, 대단히 많은 것 중의 아주 적은 것의 비유.
- 口耳之學〔구이지학〕: 남에게 들은 것을 그대로 남에게 전할 정도밖에 되지 않는 천박한 학문.
- 九折羊腸〔구절양장〕: 아홉번 꺾이는 양의 창자처럼 험하고 꼬불꼬불한 산길. 길이 매우 험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 口禍之門〔구화지문〕: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다.
- 救火投薪〔구화투신〕: 불을 끄는 데 장작을 집어 넣는다는 뜻으로 근본을 다스리지 않고 성급히 행동하다가 도리어 해를 크게 함을 비유
|